본문 바로가기

IT정보

데이터 모델링 기초 - 쉽게 이해하는 개념 정리

반응형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링 기초


📌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쉽게 말하면, 데이터를 저장할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죠. 우리가 앱이나 웹사이트를 만들 때 데이터를 어떻게 저장하고 연결할지 정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모델링의 필요성

  • 데이터 중복 방지 → 같은 데이터가 여러 곳에 저장되지 않음
  • 데이터 무결성 유지 → 잘못된 데이터가 들어오지 않도록 보장
  • 확장성 확보 → 나중에 기능이 추가되더라도 쉽게 확장 가능

📌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데이터 모델링은 보통 개념 모델 → 논리 모델 → 물리 모델 3단계로 나뉩니다.


1. 개념 모델 (Conceptual Model) – 전체적인 구조 잡기

  • 데이터를 아주 크게 그룹화하는 단계입니다.
  • 주요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정의합니다.
  • 예를 들어, 카페 주문 시스템을 만든다면 다음과 같은 개체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손님(Guest)
    • 메뉴(Menu)
    • 주문(Order)
    • 손님은 여러 개의 주문을 할 수 있음 (1:N 관계)

2. 논리 모델 (Logical Model) – 세부적인 속성 정리

  • 개념 모델을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 각 개체(Entity)가 가질 속성(Attribute) 을 정의합니다.
  • 예제 (카페 주문 시스템)
    • 손님 (Guest)
      • guest_id (고유번호, PK)
      • name (이름)
      • phone (연락처)
    • 메뉴 (Menu)
      • menu_id (고유번호, PK)
      • name (이름)
      • price (가격)
    • 주문 (Order)
      • order_id (고유번호, PK)
      • guest_id (손님 ID, FK)
      • order_date (주문 날짜)

PK (Primary Key):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키
FK (Foreign Key): 다른 테이블과 연결되는 키


3. 물리 모델 (Physical Model) – 실제 데이터베이스 구현

  • 논리 모델을 실제 DB에 맞춰서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 데이터 모델링의 핵심 개념

 

1️⃣ 엔터티(Entity) – 저장할 데이터의 대상

  • "무엇을 저장할 것인가?"
  • 예: 손님, 메뉴, 주문

2️⃣ 속성(Attribute) – 엔터티의 특징

  • "어떤 정보를 저장할 것인가?"
  • 예: 손님의 이름, 연락처 / 메뉴의 가격

3️⃣ 관계(Relationship) – 엔터티 간의 연결

  • "어떻게 연결될 것인가?"
  • 예: 손님과 주문 (1:N 관계)

4️⃣ 키(Key) – 데이터를 식별하는 요소

  • PK(Primary Key): 각 데이터를 유일하게 식별
  • FK(Foreign Key): 다른 테이블과 관계를 맺는 키

📌 데이터 모델링의 관계 (1:1, 1:N, M:N)

① 1:1 관계 (One to One)

  • 한 개체가 다른 개체와 오직 하나의 관계를 맺음
  • 예: 직원(Employee) ↔ 사원증(ID Card)

② 1:N 관계 (One to Many)

  • 한 개체가 여러 개체와 연결될 수 있음
  • 예: 손님(Guest) ↔ 주문(Order)

③ M:N 관계 (Many to Many)

  • 여러 개체가 서로 여러 개와 연결될 수 있음
  • 예: 주문(Order) ↔ 메뉴(Menu)

 

M:N 관계를 구현하려면 중간 테이블(연결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개념 모델 → 논리 모델 → 물리 모델 3단계를 거치며, 엔터티, 속성, 관계, 키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데이터 모델링이 탄탄해야 나중에 유지보수나 확장성이 쉬워지므로, 기초 개념을 잘 익혀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가 잘 되셨나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