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정보

Telnet이란? (#Telnet 사용 방법)

반응형

 


 

 

 

 

Telnet은 인터넷이나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1969년에 개발된 오래된 기술로, 주로 서버 관리나 네트워크 장비 설정에 사용되었습니다.

 

 


1. Telnet의 특징

✅ 원격 접속 기능

Telnet을 이용하면 다른 컴퓨터(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마치 직접 사용하듯이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명령어를 입력하는 CLI(명령줄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보안이 취약함

Telnet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가로채면 ID와 비밀번호가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이 때문에 현재는 **SSH(Secure Shell)**가 Telnet을 대체하여 더 안전한 원격 접속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2. Telnet 사용 방법

Telnet을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특정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기본적으로 23번 포트)에 연결해야 합니다.

💻 Windows에서 Telnet 사용하기

1) Telnet 활성화

기본적으로 Windows에서는 Telnet이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활성화 방법:

  1.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2. "Telnet 클라이언트" 체크 후 확인

2) Telnet 연결 명령어

telnet [IP 주소 또는 도메인] [포트번호]

예시:

telnet 192.168.1.1 23

 

➡ 해당 IP의 23번 포트로 Telnet 연결을 시도합니다.

3) 연결 종료

exit

 

또는

quit

을 입력하면 연결이 종료됩니다.


3. Telnet의 활용 예시

📌 서버 관리

  • 원격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
  • 하지만 보안 문제로 SSH(Secure Shell)가 더 많이 사용됨

📌 네트워크 장비 설정

  • 공유기, 스위치,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를 설정할 때 사용

📌 포트 테스트

  • 특정 IP의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 가능
  • 예: telnet example.com 80 (웹 서버가 응답하는지 테스트)

4. Telnet vs SSH (무엇이 다를까?)

비교항목 Telnet SSH
보안성 암호화 없음 → 취약 암호화 O → 안전
인증 방식 단순 ID/PW 인증 공개키(Public Key) 인증 지원
기본 포트 23번 22번
사용 권장 여부 보안 위험으로 비추천 보안성이 높아 널리 사용

 

🔎 결론: 보안이 중요한 경우 반드시 SSH 사용을 권장합니다.

 


5. 결론

Telnet은 원격 접속과 네트워크 장비 설정 등에 유용하지만, 보안이 취약하여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보안이 강화된 SSH가 Telnet을 대체하였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거나 포트 상태를 테스트하는 용도로는 여전히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