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정보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 개념 완벽 정리!

반응형

 

인터넷을 사용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입니다.입니다.

하지만 IP 주소에는 공인 IP(Public IP)와사설 IP(Private IP) 두 가지 종류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 차이점, 그리고 활용 방식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 1. 공인 IP(Public IP)란?

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할당받아 사용합니다. 외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서버나 장치는 공인 IP를 사용합니다.

 

📌 공인 IP의 특징

  • 인터넷상에서를 가짐
  •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접근 가능
  •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제공하며, 고정 IP 또는 유동 IP 방식이 있음
  • IPv4 주소 부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고,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 공인 IP 예시

  • 회사의 웹 서버: 210.115.10.5
  •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CCTV
  •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버

 

✅ 2. 사설 IP(Private IP)란?

사설 IP는 특정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로, 외부 인터넷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대부분의 가정이나 기업에서는 공유기를 사용하여 공인 IP 하나를 여러 사설 IP가 공유하는 방식으로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 사설 IP의 특징

  •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 (외부 인터넷에서 접근 불가)
  • 동일한 IP 대역을 여러 네트워크에서 재사용 가능
  •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네트워크 장비(공유기, 라우터)에서 자동 할당
  • 인터넷 접속 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이용하여 공인 IP로 변환

📌 사설 IP 주소 범위 (IPv4 기준)

대역범위

Class A 10.0.0.0 ~ 10.255.255.255
Class B 172.16.0.0 ~ 172.31.255.255
Class C 192.168.0.0 ~ 192.168.255.255

📌 사설 IP 예시

  • 가정 내 PC: 192.168.0.10
  • 회사 내부 네트워크의 프린터: 10.0.1.100
  • 스마트폰 연결된 Wi-Fi IP: 192.168.1.5

✅ 3. 공인 IP vs. 사설 IP 차이점 비교

구분 공인 IP 사설 IP
사용 범위 전 세계 인터넷 내부 네트워크
고유성 전 세계에서 유일 내부에서만 유일
인터넷 직접 연결 가능 불가능 (NAT 필요)
가격 유료(제공업체에서 할당) 무료(내부 네트워크에서 설정)
활용 사례 웹 서버, 메일 서버, CCTV 가정용 PC, 공유기, 사내 네트워크

 

공인 IP는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장치에 사용되며,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 4. 공인 IP와 사설 IP의 관계 (NAT 활용)

우리가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때 공유기(라우터)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여러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유기에는 공인 IP 하나만 할당되므로,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이 필요합니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NAT는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해 주는 기술입니다. 덕분에 내부 네트워크의 여러 장치가 하나의 공인 IP를 사용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 NAT의 역할

  • 내부 네트워크(사설 IP)의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
  •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직접 접근을 차단하여 보안 강화
  • IPv4 주소 부족 문제 해결

✅ 5. 공인 IP vs. 사설 IP,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상황 적합한 IP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 사설 IP (공유기 사용)
기업 내부 네트워크 사설 IP (VPN, 방화벽 적용)
웹 서버 운영 공인 IP (인터넷 직접 연결)
CCTV를 외부에서 접속 공인 IP (또는 DDNS 활용)

 

일반적인 가정과 기업 내부에서는 사설 IP를 사용하고,

인터넷에 직접 연결해야 하는 서버나 서비스에는 공인 IP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결론

  • 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며, 인터넷에 직접 연결됨
  •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며, 인터넷 연결 시 NAT 변환 필요
  •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업 내부에서는 사설 IP를 사용하고, 서버 운영 시 공인 IP를 활용

이제 공인 IP와 사설 IP의 개념과 차이점을 확실히 이해하셨겠죠? 😊

반응형